보건복지부(장관 조규홍)는 4월 18일(금) 2024년도 등록장애인 현황 통계를 발표했다.
2024년 말 기준 등록장애인은 2,631,356명이다. 2023년 말 등록장애인(2,633,262명)보다 1,906명이 감소하였으며, 주민등록인구 기준 5.1%이다. 15개 장애유형별 비중은 지체장애(43.0%), 청각장애(16.8%), 시각장애(9.4%), 뇌병변장애(8.9%), 지적장애(8.9%) 순으로 지난해와 같았다.
등록장애인 중 65세 이상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55.3%(1,455,782명)로 나타났다. 연령대별 비중은 60대(621,450명, 23.6%), 70대(578,655명, 22.0%), 80대(461,367명, 17.5%) 순이다.
2024년 한 해 동안 새롭게 등록된 장애인은 85,947명이었다. 새로 등록된 장애인 중 가장 많은 장애유형은 청각(31.7%), 다음은 지체(16.6%), 뇌병변(15.8%), 신장(11.1%)순이었다.
등록장애인 중 심한 장애인은 966,428명(36.7%), 심하지 않은 장애인은 1,664,928명(63.3%)이고, 남성 장애인은 1,525,056명(58.0%), 여성 장애인은 1,106,300명(42.0%)이었다.
상세한 등록장애인 현황 통계 자료는 보건복지부 누리집(www.mohw.go.kr)과 KOSIS 국가통계포털(www.kosis.kr)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.
보건복지부 손호준 장애인정책국장은 “인구감소 및 고령화의 영향으로 등록장애인 수의 감소와 65세 이상 장애인 비율의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”라면서 “등록장애인의 현황 변화 추이를 면밀히 검토하여 적합한 장애인정책을 수립해 나가겠다”라고 밝혔다.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2024년 등록장애인 263만 1천 명, 전체 인구 대비 5.1% - 2024년도 등록장애인 현황 통계 발표 | 군위자활 | 2025.04.17 | 13 | |
10 | 보건복지 상담, 수어·채팅·챗봇 전면 개편된 129 앱으로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| 군위자활 | 2025.04.11 | 15 |
9 | 자립을 희망하는 장애인, 지역사회에서 우리의 이웃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기반 마련 | 군위자활 | 2025.02.27 | 33 |
8 | 65세 이상 발달장애인, 주간활동서비스 이용 가능 (올해 3월부터 65세 연령 제한 기준 폐지) | 군위자활 | 2025.02.24 | 33 |
7 | 2024년 고독사 사망자 실태조사 결과 발표 | 군위자활 | 2024.10.18 | 43 |
6 |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 6.42%로 역대 최대 인상 - 자동차재산 기준 완화, 노인 근로소득 공제 대상 확대,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제도개선 적극 추진 | 군위자활 | 2024.07.25 | 60 |
5 | 자립준비청년의 삶의 만족도, 교육 수준 등 전반적인 자립 여건 개선 - 2023 자립지원 실태조사 결과 발표 | 군위자활 | 2024.06.27 | 45 |
4 | 「복지위기 알림 앱」을 통해 도움을 요청하세요 | 군위자활 | 2024.06.26 | 44 |
3 | 2023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 발표 | 군위자활 | 2024.04.30 | 84 |
2 | 2021년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| 군위자활 | 2021.04.06 | 314 |
1 | 지역재난상황(감염병 유행)에서 효과적인 대처를 위한 사회복지시설의 감영병 대응 매뉴얼 | 군위자활 | 2021.04.06 | 283 |
0개의 댓글